bom

Programming/JavaScript

[JavaScript] Event: 키 관련 이벤트

🍁키 관련 이벤트 키 관련 이벤트는 onkeyXXX 형태를 가진다. 보편적으로 keydown을 사용한다. keyup을 사용하는 경우는 방금 누른 문자가 필요한 업무를 할 때이다. onkeydown 키를 눌렀을 때 발생한다. 키 이벤트 키를 누르고 있으면 연속 입력된다. function m1() { //console.log('keydown'); console.log(event.keyCode); //입력한 문자 코드 } 입력된 (물리)키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입력된 문자(같은 키에 할당된 a와 A)는 구분할 수 없다. keydown은 입력된 문자는 중요하지 않을 때, 물리키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모든 키에 반응하므로 keypress보다 keydown을 많이 사용한다. keypress는 Shift, C..

Programming/JavaScript

[JavaScript] Event: Event Handling, 마우스 관련 이벤트

🍁Event 이벤트는 사건을 의미한다. 객체(태그 포함)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전부 이벤트라고 부른다. 이벤트는 언제 발생할지 예측이 불가능하다. 🍂Event Handling 이벤트 핸들링은 이벤트 처리/등록에 관한 기능이다. 언제 발생할지 예측 불가능한 사건에 대비해 처리할 코드를 미리 준비해서 언젠가 사건이 발생하면 코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Oracle의 Trigger와 비슷한 느낌의 기능을 한다. 이벤트 등록 onXXX 속성(프로퍼티)을 제공한다. 동적 방식을 사용하면 HTML에 JavaScript 코드를 적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통 동적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코드 관리 차원에서 동적 방식을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정적 방식 Event 정적 방식은 HTML 태그에 적용한다. 사건이..

Programming/JavaScript

[JavaScript] BOM과 DOM: HTML 계층 구조

🍁BOM과 DOM CSS는 태그를 조작할 때 선택자(HTML 태그 검색)로 접근을 하고 나서 조작했다. 마찬가지로 JavaScript에서도 HTML 태그를 검색하여 접근한 뒤에 조작한다. 이는 HTML 계층 구조를 활용하여 JavaScript로 탐색하는, 즉 태그를 찾는 방법에 대한 얘기이다. BOM이란? 자바스크립트 BOM (브라우저 객체 모델)은 브라우저의 창, 프레임 등의 브라우저의 요소를 객체로서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BOM으로 브라우저와 상호작용하여 브라우저의 창 크기, 위치, 히스토리, 쿠키, 알림 등을 다룰 수 있다. BOM 객체로는 window, screen, location, history, navigator, document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객체들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동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