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업로드 / 다운로드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파일을 복사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서버 쪽으로 복사하면 파일 업로드, 서버 쪽에서 클라이언트의 자원을 복사하면 파일 다운로드라고 한다. 파일 업로드 라이브러리 cos library http://www.servlets.com/cos/ Servlets.com | com.oreilly.servlet www.servlets.com cos-22.05.zip 파일을 저장한다. C:\Class\code\server\JSPTest\src\main\webapp\WEB-INF\lib 다운로드한 cos.jar 파일을 프로젝트의 WEB-INF폴더의 lib폴더에 저장한다. 이렇게 하면 톰캣이 대신 참조를 해 준다. 그리고 업로드한 파일을 저장할 전용 폴더를..
🍁request 객체 [JSP] 내장 객체: request 객체 🍁내장 객체 내장 객체(Implicit Object)는 개발자가 직접 생성하지 않아도 JSP(톰캣)가 미리 만들어서 제공하는 객체이다. JSP에는 미리 만들어진 예약어들이 있으며, 이 안에는 객체가 내장되어 있 isaac-christian.tistory.com 🍁response 객체 [JSP] 내장 객체: response 객체 🍁response 객체 HttpServletResponse request와 반대로 response객체는 서버 쪽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response 객체의 업무 1.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돌려주는 HTML 페이지를 제 isaac-christian.tistory.com 🍁pageContext..
🍁session 객체, application 객체 session 객체 session 객체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세션 정보(접속부터 종료까지의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이다. 즉, session 객체는 고객(개인 방문자)에 대한 모든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객체이다. 로그인 작업이 session 객체에서 이루어진다. application 객체 웹 사이트 == 웹 응용 프로그램 == 웹 애플리케이션 웹 사이트는 웹에서 돌아간다는 의미에서 하나의 웹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부른다. application 객체는 애플리케이션(웹 사이트)의 전체적인 정보를 관리하고 조작하는 객체이다. Map 형태의 내장 객체 request, session, pageContext, applic..
🍁out객체 out 객체는 출력 관련이 있다. 구구단을 만들어보면서 스크립틀릿과 표현식을 사용하는 방법과 스크립틀릿과 out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구구단 출력 out 구구단 (스크립틀릿 + 표현식) out 객체의 print 메서드에 서블릿 방식으로 출력하고 싶은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JSP 코드의 가독성이 낮아진다고 예전 방식인 서블릿 방식으로 돌아간다. 자바 스타일로 작성할 수 있지만, print와 println을 사용할 수 있다. (printf는 없다.) 스크립틀릿과 표현식을 사용하는 방식은 머리통을 끊어버리기 때문에 가독성이 낮고 지저분해 보인다. out 객체를 사용하면 온전하게 for문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독성을 높이면서 출력을 할 수 있다. 더보기
🍁pageContext 객체 pageContext 객체는 페이지 이동과 관련이 있다. 페이지 이동하기 pageContext 객체도 response 객체처럼 페이지를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pageContext 객체와 response 객체의 차이점 http://localhost:8090/jsp/ex11_response_2.jsp http://localhost:8090/jsp/ex12_pagecontent_1.jsp 두 객체의 페이지 이동의 차이점은 하던 일을 계속하는지, 멈추는지에 있다. Round-Trip response 객체는 sendRedirect 메서드를 만나면 당장 이동하지 않고, 기억만 한다. 그리고 1번 페이지의 나머지 코드를 실행해서 1번 페이지를 끝마치고, 다시 브라우저로 돌아간다. 다..
🍁response 객체 HttpServletResponse request와 반대로 response객체는 서버 쪽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response 객체의 업무 1.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돌려주는 HTML 페이지를 제작 response객체로부터 getWriter메소드를 호출하면 PrintWriter가 HTML을 제작한다. 2.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돌려주는 HTML 페이지 인코딩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서블릿 페이지 지시자: contentType="charset=UTF-8" //JSP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돌려주는 HTML 페이지 인코딩이 별로 의미가 없다. JSP에서는 만들어진 페이지에 대한 인코딩을 페이지 지시자 내부의 c..
🍁내장 객체 내장 객체(Implicit Object)는 개발자가 직접 생성하지 않아도 JSP(톰캣)가 미리 만들어서 제공하는 객체이다. JSP에는 미리 만들어진 예약어들이 있으며, 이 안에는 객체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내장 객체는 JSP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사용 빈도 1. request, response, session, pageContext 2. out, application 3. config, page, exception 사용 빈도수에 따라서 위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Map 형태의 내장 객체 request, session, pageContext, application void setAttribute(String key, Object value) Object getAttribute(St..
🍁Template 생성 Preferences > Templates > New Template Code ${cursor} 위와 같이 코드를 추가한다. New JSP File 이제 jsp 파일을 생성할 때 Next를 눌러 Select JSP Template에서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