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Portfolio/Service

[대재미: A1]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데이터베이스

eXERD로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ERD는 효율적으로 데이터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수로 수행해야 하는 작업이지만, 해커톤 기간임을 고려하여 최대한 간단하게 작성하였다. 해커톤에서 다른 개발자들의 데이터 모델링을 확인해 보니 eXERD보다는 ERDCloud를 사용하는 듯했다. 하나의 ERD에 많은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다고 해서 바꿔 보려고 한다. 데이터 모델링 이후에는 DBeaver로 DDL(데이터 정의어), DML(데이터 조작어)을 작성하였다. DDL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테이블 생성, 변경, 삭제 등의 작업을 포함한다. 그리고 DML은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작업을 다루며, ..

Portfolio/Service

[대재미: A1]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발표자료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후기 [대재미: A1] SPARCS Service Hackathon은 대전광역시와 KAIST에서 주최하고, SPARCS에서 주관하는 해커톤으로, 2024년 2월 14일 수요일 13시부터 2월 16일 금요일 19시까지 진행되었다. 나는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A1팀의 백 isaac-christian.tistory.com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해커톤 A1팀에서 개발한 서비스 [대재미]의 발표자료이다.

Daily Life/Diary

[대재미: A1]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후기

SPARCS Service Hackathon은 대전광역시와 KAIST에서 주최하고, SPARCS에서 주관하는 해커톤으로, 2024년 2월 14일 수요일 13시부터 2월 16일 금요일 19시까지 진행되었다. 나는 SPARCS Service Hackathon 2024 A1팀의 백엔드 개발자로 선발되어 참여하게 되었다. 전국에서 200명가량의 지원자들 중에 80명을 선발하여 20팀이 만들어졌는데 지원자가 많다 보니까 목요일로 예정된 선발 공지가 토요일에 되었다. 코로나 이후에 게임잼과 해커톤이 많이 사라져서 아쉬웠는데 이번에 해커톤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정말 기뻤다!🙂 대회 당일 Streamlit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시각화하는 미션이 있었기 때문에 해커톤이 시작하기 전에 엘리스코딩 플랫폼에서 Streaml..

Programming/React

[React] Spring Boot와 React 프로젝트 Rest API 연동하기

Spring Boot와 React 프로젝트 간 Rest API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를 통해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의 통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Starter Project Spring Starter Project로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의존성 라이브러리로는 Spring Boot DevTolls, Lombok, WebSocket, MyBatis Framework, Oracle Driver, Thymeleaf, Spring Web을 추가하였다. 또는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Import해도 된다. Application.jav..

Programming/AWS

[AWS] Spring Boot 웹 애플리케이션 AWS와 Mobaxterm으로 서버에 배포하기

AWS와 Mobaxterm을 사용하여 Spring Boot 프로젝트를 JAR 파일로 배포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차근차근 기록해 보려고 한다. Spring Boot 프로젝트를 AWS에서 배포하는 방법이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꽤나 간단한 작업이다. Gradle을 사용해 보기도 하고, WAR 파일로 내보내 보기도 하고, pom.xml 파일과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을 계속 수정해 가면서 파일을 배포하기도 하면서 시행착오가 있었다. 만약 서버에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배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프로젝트 배포 단계 AWS EC2 인스턴스 설정 Spring Boot 프로젝트 빌드 MobaXterm을 사용한 웹 애플리케이션 배포 ..

Programming/Spring

[Spring] Spring MVC Framework: MVC 패턴의 구조, 동작 과정

Spring MVC Framework는 웹 개발에서 널리 사용되는 아키텍처 중 하나로,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기반으로 한다. 💡MVC 패턴의 구조 Model 정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책임지며,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다. 역할: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저장하며, 데이터의 변경이 일어날 경우 적절한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구현: Java 객체로 표현되며, 특정 도메인의 데이터를 담는 역할을 한다. View 정의: 시각적인 UI를 담당하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현한다. 역할: Model에서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Controller에 전달한다. 구현: 주로 HTML, JSP, Thymeleaf 등의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Programming/Spring

REST, REST API, RESTful API 정리⭐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을 나타낸다. State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Transfer는 해당 상태의 전송 방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며,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ST는 반드시 Spring에서만 사용되는 건 아니며, 다양한 플랫폼 및 언어에서 활용될 수 있다. 📌REST의 구성 요소 자원 (Resource) 자원은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나타내며, 각 자원은 고유한 식별자(ID)를 가진다. 이 식별자는..

Programming/Spring

[Spring] 타임리프(Thymeleaf) 기본 문법, 기능 정리

타임리프는 서버 사이드 Java 템플릿 엔진으로, 주로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함께 사용된다. 이 템플릿 엔진은 HTML, XML, JavaScript, CSS를 렌더링 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동적 웹 페이지의 개발에 용이하다. HTML 문법에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자와 디자이너 간의 협업을 쉽게 해 준다는 특징이 있다. [Spring Boot] Thymeleaf(타임리프) 표현식 🌿Thymeleaf Thymeleaf는 View를 제작하여 화면을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으로,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에서 서버 측 HTML 렌더링을 위해 사용된다. Thymeleaf는 JSP, EL, JSTL을 합쳐 놓은 느낌이다. 이 isaac-christian.tistory.com 타임리프 프로젝트 및 추가적인 내용..

Isaac-Christian
'Spring' 태그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