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Programming/React

[React] Spring Boot와 React 프로젝트 Rest API 연동하기

Spring Boot와 React 프로젝트 간 Rest API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를 통해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의 통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Spring Starter Project Spring Starter Project로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의존성 라이브러리로는 Spring Boot DevTolls, Lombok, WebSocket, MyBatis Framework, Oracle Driver, Thymeleaf, Spring Web을 추가하였다. 또는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Import해도 된다. Application.jav..

Programming/Spring

REST, REST API, RESTful API 정리⭐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을 나타낸다. State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Transfer는 해당 상태의 전송 방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며,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ST는 반드시 Spring에서만 사용되는 건 아니며, 다양한 플랫폼 및 언어에서 활용될 수 있다. 📌REST의 구성 요소 자원 (Resource) 자원은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나타내며, 각 자원은 고유한 식별자(ID)를 가진다. 이 식별자는..

Programming/Spring

[Spring] REST API: Client 구축

🌿REST API를 이용한 Client 구축 [Spring] REST API, RESTful API (CSR: Client Side Rendering)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 상의 자원(문서, 이미지, 영상 등)을 자원명으로 표시해서 상태를 주고받는 규칙을 의미한다. HTTP URI를 통해서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를 통해서 자원 isaac-christian.tistory.com 이전의 REST API 글에서 이어진다. REST Server의 기능을 이용한 주소록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도록 하자. 내가 필요한 기능을 입출력할 수 있는 Open API가 있다고 생각하고, 해당 Open API만을 이용해서 화면을 만들 예정이다. ..

Programming/Spring

[Spring] REST API, RESTful API (CSR: Client Side Rendering)

🌿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 상의 자원(문서, 이미지, 영상 등)을 자원명으로 표시해서 상태를 주고받는 규칙을 의미한다.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서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서 해당 자원에 대한 CRUD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즉, REST는 인터넷 주소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Spring과 독립된 기술로, 주소의 형식만 갖추면 Servlet/JSP로도 사용할 수 있다. URI(URL) 표기 방식 게시판을 만든다는 걸 가정해서 URI 표기 방식의 차이를 알아보도록 하자. 이전 방식 목록보기: GET ..

Isaac-Christian
'RES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