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석 목적
1. 광진구의 주차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안 필요
광진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지역으로, 인구 밀도가 높아 특히 주차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차량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불법 주정차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그에 따라 불편 신고 건수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광진구는 '거주자 우선 주차 공유사업'을 실시하는 등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책을 시도하고 있으나, 주차난은 여전히 광진구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 중 하나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욱 체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실현 가능한 방안을 세워야 한다.
2.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광진구의 주차 문제 파악 및 정책 제시
타 지역에서의 문제 해결 과정을 살펴본 결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불편을 개선하거나 편의를 제공하여 전보다 더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변화해왔다. 타 지역의 사례를 참고하여 본 연구 분석 또한 광진구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광진구 주차 문제 발생 지역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특정 키워드가 광진구의 주차 문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최종적으로는 주정차 단속 현황 데이터 분석을 통해 광진구의 주차 관련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 배경 및 필요성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앱에서는 사람들의 민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교통 관련 민원을 분석한 결과, 불법 주정차 민원 건수는 24,268건(97.6%)으로 가장 높았고, 장애인 주차 구역 위반은 223건(0.9%), 거주자 우선 주차 위반은 74건(0.3%)이었다. 지난 1년간(2022.5.4.~2023.5.4.) 주차와 관련된 민원 건수만 24,565건으로 전체 민원 건수 중 98.8%를 차지한다.
시간대별로 민원 건수를 분석해보면 0~6시(새벽)에 불법 주정차는 1,173건, 장애인 주차구역 위반은 21건, 거주자 우선 주차 위반은 6건 접수되었으며, 6~12시(오전)에는 불법 주정차 5,448건, 장애인 주차구역위반 49건, 거주자 우선 주차 위반 14건 접수되었다. 오후 시간대인 12~18시에는 불법 주정차 7,948건, 장애인 주차 구역위반 71건, 거주자 우선 주차 위반 27건이 접수되었고, 18~24시에는 불법 주정차 9,699건, 장애인 주차 구역위반 82건, 거주자 우선 주차 위반 27건의 민원이 접수되었다.
이를 통해 불법 주정차 민원이 18~24시 저녁 시간대에 많이 접수된 것과 오전에서 오후 시간대로 갈수록 민원 건수가 많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위 분석 결과로 광진구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주차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광진구에서는 공영주차장과 무료주차장을 운영하고 있고, 광진구 주민들을 위한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아파트 단지나 상가 등에서 주차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무단 주정차 문제가 발생한다. 무단 주차는 교통을 방해하고, 법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광진구의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 환경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해당 문제의 분석 및 해결이 필요하다.
○ 분석데이터
1. 2022년 광진구 전체 주정차 단속 현황
※ 사용 데이터 Sample
광진구에서 발생한 불법 주정차 단속구분은 PDA(18,995), 고정형CCTV(14,383), 안전신문고(4,083) 항목이 가장 높았고,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14,109), 주차금지(황색점선)구역(7,011), 보도(6,433)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A: 이동형 주차 단속기를 이용하여 주차 위반 차량을 검거하는 방식
※ 단속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위반내용에 따라 색을 구분하여 광진구 지도에 마커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2022년도 주정차 단속 발생 건수는 42,442건으로, 단속 데이터를 모두 지도상에 나타내 파악하기에는 가시성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행정동별로 주정차 단속 현황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2. 2022년 광진구 행정동별 주정차 단속 현황
2-1. 광장동 주정차 단속 현황
광장동의 단속구분은 PDA(2,937), 안전신문고(1,156), 고정형CCTV(823)가 가장 높았고,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2,162), 주차금지구역(675), 보도(542)가 높았다.
광진구의 아차산 생태공원, 광진정보도서관, 시립 광진 청소년센터, 현대 사파리 사우나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광진구는 도보 주변으로 CCTV가 있지만, 아차산 생태공원 근처에 CCTV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장동은 특히 교통소통장애 건수가 높았는데, 공원 이용객의 원활한 교통을 위해 CCTV를 추가로 설치하여 단속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아차산 생태공원에 39면의 주차장이 있으나 이용객에 비해 협소하고, 주말이면 생태공원 주차장은 금방 차게 된다. 생태공원 이용객들이 만남의 광장 도로 갓길에 주차하게 되면서 해당 지역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 현재 제공되는 불법 주정차 단속 데이터베이스에는 주소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다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지도상에 표시할 수 없어 전처리 과정에서 제외하였고, 따라서 표시되지 않는 데이터로 인해 위의 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2. 구의동 주정차 단속 현황
구의동의 단속구분은 고정형CCTV(5,507), PDA(3,501), 스마트앱(389)이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3,393), 주정차금지구역(2,144), 주차금지구역(1,445)이 높았다. 구의동의 CCTV 대수는 16대로, 광진구 행정동 중에 가장 많다. 또한 고정형CCTV 단속 건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구의동의 건국대학교, 광진구청, 광진우체국, 동서울터미널, 테크노마트, 서울내과외과, 구의아리수정수센터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으며, 광나루로를 기준으로 구의동의 위에 있는 구의2동보다 아래에 있는 구의1동과 구의3동 지역에서 비교적 불법 주정차가 발생 건수가 높았다.
2-3. 군자동 주정차 단속 현황
군자동의 단속구분은 고정형CCTV(1,182), PDA(983), 안전신문고(324)가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보도(961), 주차금지구역(787), 교통소통장애(579)가 높았다.
군자동의 서울 세종초등학교, 광진광장, 천호대로104길, 능동로25길, 능동로35길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다.
군자동의 동일로60길에는 쇼핑센터가 있다. 쇼핑센터에는 사람들이 밀집되므로 직접적으로 불법 주정차 발생은 덜하고, 오히려 주변의 천호대로104길과 능동로35길의 골목(보도)과 주차금지 구역에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종대학교와 어린이대공원 사이의 능동로23, 25길은 능동의 어린이대공원 앞으로, 건너편의 능동에서도 불법 주정차가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2-4. 능동 주정차 단속 현황
능동의 단속구분은 PDA(1,382), 고정형CCTV(587), 스마트앱(171)이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955), 보도(549), 주정차금지구역(347)이 높았다.
이러한 위반내용으로 볼 때, 능동은 주차보다는 주정차 문제가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능동의 어린이대공원 앞, 어린이대공원 입구, 어린이대공원 주차장, 천호대로110길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다. 어린이대공원에는 총 979면의 주차면이 있다. 그중 정문에 89면, 상상 나라에 305면, 후문에 250면이 있다. 그러나 12시가 되면 주차장은 만차가 되며, 이때 평균 대기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이에 따라 어린이대공원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 이용객들의 안전이 위협받지 않도록 어린이대공원 근처의 단속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2-5. 자양동 주정차 단속 현황
자양동의 단속구분은 PDA(4,551), 고정형CCTV(2,686), 안전신문고(1,153)가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3,641), 주차금지구역(1,334), 보도(1,295)가 높았다. 자양동에서는 특히 교통소통장애로 인한 위반건수가 높았다.
자양동의 동일로20길(쇼핑센터), 뚝섬 한강 치안센터, 국민은행 노유지점, 광진구청, Seonghwa Children’s Park, 서울 신양중학교, 자양 제4동 도서관, 자양유수지체육시설, 서울 성자 고등학교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다.
동일로20길은 쇼핑센터가 즐비어 있어 지속해서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고 있다. 근처에 이용할 수 있는 자양 4동 공영주차장(86주차면)과 행복 제2 공영주차장(53주차면)이 있으나, 건대입구역과 가까워 평일 저녁에도 주차장이 꽉 차는 곳이다.
이곳은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하는 만큼 CCTV도 6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뚝섬한강치안센터 주변의 아래 지역으로 불법 주정차 문제가 이전되는 현상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2-6. 중곡동 주정차 단속 현황
중곡동의 단속구분은 PDA(3,549), 고정형CCTV(2,970), 스마트앱(1,980)이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주차금지구역(2,316), 보도(2,112), 교통소통장애(1,884)가 높았다.
중곡동 위반내용의 특이한 점은 특정 항목만 높게 나타나지 않고, 버스정류소(1,459)와 도로모퉁이(653)에서 위반한 건수가 다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중곡역 주변에 불법 주정차를 하게 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중곡동의 중곡공원, 중곡역, 중곡역 입구, 중곡동 종점, 면목 시장 앞, 서울 중곡 우체국, 용마도시자연공원, 홈플러스 슈퍼마켓, 새벽 어린이집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다.
특히 중곡역과 용마도시자연공원으로 올라가는 길에 불법 주정차가 집중되어 있다. 용마도시자연공원 근처에는 긴고랑길공영주차장, 용마산남공영주차장, 새오름공영주차장, 해오름공영주차장, 신성시장길공영주차장, 총 5개의 주차장이 있는데 이러한 주차장 근처에서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고 있다.
2-7. 화양동 주정차 단속 현황
화양동의 단속구분은 PDA(2,092), 고정형CCTV(628), 안전신문고(146)가 높았으며, 위반내용은 교통소통장애(1,495), 주정차금지구역(319)와 도로모퉁이(319)가 높았다. 특히 화양동은 교통소통장애로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다.
화양동의 화양동 느티나무공원, 천주교 화양동성당, 아차산로33길, 영동 대구 입구, 성수사거리 주변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했다.
근처에 주차장이 있음에도 불법 주정차가 발생하는 것은 주민센터 또는 공원 이용객이 공영주차장의 포화로 인해 불법 주정차를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Street Market 맞은편의 동일로22길에 불법 주정차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3. 광진구 행정동별 단속 CCTV 효용 비교
CCTV 단속 건수와 CCTV 대수를 비교하여 실제로 CCTV가 얼마나 단속 효과를 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CCTV 효용이 떨어지는 행정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비교 분석 결과, CCTV 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효용을 보인 행정동은 자양동이고, 높은 효용을 보인 행정동은 구의동이다.
4. 광진구 행정동별 주차장 활용도 비교
주차금지구역 단속 건수와 동별 주차장의 주차면 총합을 비교하여 사람들이 주차장을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 또는 주차면이 얼마나 부족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비교 분석 결과, 중곡동은 462면이 있음에도 16,218건의 불법 주차가 발생했으며, 구의동과 자양동 또한 500면 이상 주차면이 있음에도 높은 불법 주차 단속률을 보였다. 주차장 근처에 불법 주차가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면 주차면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불법 주차로 이어지는 영향이 크지만, 실질적으로 주차면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에 주차장을 이용하기 수월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5. 2022년 광진구 행정동별 주정차 단속
2022년에 광진구에서 불법 주정차 단속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행정동은 구의동(69,867), 중곡동(67,423), 자양동(64,084)이다. 이 지역은 인구수가 많은 만큼 주차 문제 해결이 더욱 대두되며, CCTV 대수와 주차면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세부적으로 구의동은 구의1동과 구의3동을, 자양동은 동일로20길 근처의 쇼핑센터를, 중곡동은 중곡역과 용마도시자연공원의 주차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6. 2023년 광진구 전체 주정차 단속 현황
2022년 결과와 동일하게 2023년에도 여전히 불법 주정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분석 언어 및 툴
분석 언어는 Python을 사용하였고, 시각화를 위해 geopy, folium 라이브러리(CircleMarker, MarkerCluster)를 사용하였다.
분석 툴은 Colab, GeocodingTool, Excel을 사용하였다.
○ 알고리즘 및 방법론
1. excel에서 1차 전처리 후 python에서 2차 전처리
# 지도 데이터 활용 방법
지도 데이터에 나타내거나 활용할 데이터만을 남기고 excel에서 1차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python에서 주소 데이터를 2차 전처리하는 과정을 거쳤다.
2. 주소를 경도 위도로 변환
Python내에서 경도와 위도를 변환할 수 있도록 했다.
3. folium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광진구 위에 단속 데이터, CCTV, 공영주차장 위치정보를 나타냄
변환한 경도, 위도 데이터를 folium 라이브러리로 광진구를 중심으로 나타낸 지도 위에 단속 데이터 분포를 그린 뒤, CCTV와 공영주차장을 마커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분석 요약
1. 서울 스마트 불편신고 교통 관련 민원은 24,268건으로, 광진구 주민들은 일상속 에서 불법 주정차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불편을 겪는 가장 큰 부분은 교통소통장애, 보도, 주차금지구역에서의 불법 주정차 문제이다.
2. 불법 주정차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지역은 구의동(구의1동, 구의3동), 자양동(동일로20길), 중곡동(중곡역, 용마도시자연공원)이다.
3. 주차장 근처에 불법 주정차가 집중된 것을 확인했다. 이는 불법 주정차 발생 이유가 주차면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4. 특히 불법 주정차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을 주변의 쇼핑센터, 공원, 역 근처 등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동형 CCTV로 단속할 때, 지도 데이터에서 불법 주정차가 밀집된 지역으로 단속 경로를 설정한다면 악성 주정차단속에 도움이 될 것이다.
○ 해결방안 및 기대효과
1.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과 외부인 주차구역을 안내하는 서비스 제공
광진구시설관리공단에서 담당하는 거주자 우선 주차 구획정보 자료를 활용해 거주자 우선 주차하도록 지정해놓은 곳을 표시하고, 거주자 외에 외부인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면의 수를 알 수 있도록 활성화한다. 이와 비슷하게 외부인 주차금지구역인 곳이 어디인지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 표시하고, 목적지 주변 주차할 수 있는 곳을 안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광진구시설관리공단의 거주자 우선 주차 구획정보, 서울시설공단에서 제공하는 공영주차장 시간별 주차현황, 광진구시설관리공단 공영주차장 현황 자료와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주차장 동별 통계를 활용한다. 또한 도시교통실 보행친화기획관 교통정보과에서 제공하는 서울특별시 광진구 불법 주정차 위반 단속 CCTV 위치정보를 통해 주정차 불가 구역을 표시해 이용자의 주차를 돕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코로나 잔여 백신 예약제도를 생각하면 된다. 지도를 통해 잔여 백신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잔여 백신이 몇 개 남았는지, 운영 시간은 언제인지 나타나는 서비스와 비슷하다. 주차 서비스도 위치를 중심으로 거주자 우선 주차하는 곳이 어디인지, 그곳의 외부인이 주차를 할 수 있도록 남아있는 주차구역의 수는 몇 개이고 가능한 시간은 어느 정도인지, 외부인 주차금지구역을 적용하고 있는 장소가 어디인지, 그 주변에서 주차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 민영주차장, 상가주차장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주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필요한 시점
그러나 현재 광진구는 공영주차장이 많이 구비되어있지 않을뿐더러, 유동 인구에 비해 주차장이 적절하게 분포되어 있지도 않다. 그로 인해 도로에 외부인 차량이 주차하도록 정해진 곳 이외에 장소에 주차를 해놓은 것(이중주차 등)과 같은 현상을 흔하게 발견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이유로 통행에 불편을 겪고 있음을 확인했다. 외부인이나 등록되지 않은 차량을 소지한 사람들이 7개에 불과한 공영주차장에 주차하고, 목적지까지 다시 가는 방법은 사실상 실천을 기대하기 어려운 방법이다.
주민들도 불편을 겪지 않고, 주차를 하는 사람도 목적지 근처에 쉽게 주차를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기에 위와 같은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라고 본다. 스마트폰으로 내비게이션을 작동시켜 목적지를 설정하고 나면, 지도를 통해 외부인이 주차금지 구역이 어디인지 한눈에 파악하기 쉽고, 주차하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면서 주차를 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다. 이로써 도로에 이중주차나 불법 주정차 때문에 주민들이 주차와 관련된 일로 불편을 호소하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중주차나 불법 주정차로 인하여 생기는 교통사고와 장애인주차구역에 대한 위반 등 다양한 교통 범죄가 감소할 것이다.
3. ARS 주차공유 서비스 도입
다음으로, ARS 주차공유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ARS 주차공유 서비스는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배정자가 공유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하여 주차가 필요한 운전자에게 주차면을 빌려주는 서비스이다.
광진구는 현재 이와 같은 '거주자 우선 주차' 제도를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해당 제도를 신청하려면 신청 시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시설관리공단을 내방하거나 팩스로 접수해야 하는 등 이용에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본인이 신청한 시간 외에 주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주차가 어렵기에, 또 다른 주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ARS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화로 주차할 수 있는 장소를 확보하는 방법이 훨씬 편의성이 있으며, 주차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양한 주차 관련 정책과 서비스가 활성화된다면 광진구의 주차 문제는 자연스럽게 개선될 것이다. 위의 해결방안이 실제로 적용되어 광진구 거주민들의 불편이 해소되기를 바란다.
○ 데이터 출처
- 『서울특별시 광진구 주정차단속현황』, 광진구 교통지도과, 2023.03.29.,
https://www.data.go.kr/data/15034487/fileData.do
- 『서울시 광진구 불법주정차 위반 단속 CCTV 위치정보』, 광진구 교통지도과, 2023.04.12.,
http://data.seoul.go.kr/dataList/OA-20928/S/1/datasetView.do
- 『서울특별시 광진구 공영주차장 정보』, 광진구 교통지도과, 2022.01.19.,
https://www.data.go.kr/data/15006556/fileData.do?recommendDataYn=Y
- 『서울특별시 광진구 공동주택 주차장』, 광진구 교통지도과, 2023.03.14.,
https://www.data.go.kr/data/15112753/fileData.do
- 『서울특별시 광진구 인구현황』, 광진구 자치행정과, 2023.01.30.,
https://www.data.go.kr/data/15052327/fileData.do
○ 참고 문헌 출처
- 김동근, 김범식, 권용훈, 홍상연, 심효섭, 신영현, 박귀원, 『빅데이터 활용한 공영주차장 분류와 주차수요 추정 방법론』, 서울공공투자관리센터, 2022.11.28.